한국 지사에서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방식에 대해 의견 분분
기술유출 막기 위해 직접 생산보다는 위탁 생산에 무게 실려
[바이오타임즈] 코로나19 백신 개발사인 미국 제약사 모더나가 한국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2일 (현지 시각) 본격적으로 채용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현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더나의 mRNA(메신저 RNA) 백신의 위탁생산(CMO)이 한국에서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일 모더나의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고에 따르면 한국에서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을 이끌 임원 ‘GM(General Manager)’과 약물의 이상 반응 등을 살피는 약물 감시 책임자 ‘PV(Pharmacovigilance)’를 채용한다. 특히 GM에 대해서는 백신 공급 계획과 관련해서 한국 정부와 소통하는 것이 주요 업무라고 밝혔다.
임원 지원 대상은 의학·약학·생물학·화학 등의 분야 학위와 의약 업계 내에서 최소 5년 동안 기업을 경영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다.
◇ 모더나 한국 지사에서 백신 위탁생산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아
앞서 모더나는 지난 4월 15일 진행된 백신데이에서 "올해 한국·일본·호주 등 3개국에 자회사를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모더나의 한국 지사 설립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직접 생산하게 될지, 아니면 위탁생산(CMO)에 들어가게 될지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다. 현재로서는 위탁생산을 할 것이라는 의견이 더 지배적이다.
박병국 NH투자증권연구원은 모더나 관련 보고서에서 “한국에 자회사가 설립된다면 한국기업을 CMO 기관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밝혔다.
이는 모더나가 미국, 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등 자회사가 있는 국가의 기업들과만 CMO 파트너십을 체결해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모더나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회사 11곳을 운영 중이지만 대부분 북미·유럽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 지사를 설립하게 되면 CMO 담당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지난 4월 15일 정부가 언급한 “올해 8월 국내 한 제약사가 해외 승인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서 위탁생산하는 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도 모더나의 국내 위탁생산 가능성을 높인다.
모더나는 미국·미국 외 지역으로 나눠 코로나 백신을 생산·유통해왔지만, 지속해서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현재 미국·유럽 공장에서 연 5억 도즈 분량의 백신을 생산하고 있지만, 전량 모두 현지에 공급된다. 여기에 지난달 30일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사용 승인 목록에 오르며 공급 차질은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모더나는 우리 정부와도 2,000만 명분 공급을 계약했다. 따라서 기존 생산 공장과는 별개의 제 3 공장에서 백신을 생산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위탁생산설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 위탁생산 업체로는 에스티팜 유력, 충진∙포장만 맡길 것이라는 의견도 있어
현재 국내 기업 중 모더나의 mRNA 기반 백신을 위탁생산할 수 있는 곳으로는 에스티팜이 거론된다. 에스티팜은 최근 제네반트사이언스로부터 LNP(지질 나노 입자) 약물 전달체 기술을 도입했다.
이 기술은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상업화에 사용되는 것으로, 모더나의 mRNA백신에 사용한 것과 같은 기술이다. mRNA 백신 제조 과정에는 mRNA 원료를 LNP 기술로 감싸는(캡슐) ‘조성’ 공정이 하나 더 가는데, 에스티팜이 이 기술을 도입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모더나가 국내에서 백신 생산을 이원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다. 즉,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원료 생산은 기존 공장에서 하고, 충진∙포장만 국내 업체에 맡기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 공정을 위탁할 기업으로는 GC녹십자가 꼽힌다. GC녹십자는 지난해 10월 오창에 연 10억 도즈 규모의 충진·포장 위탁생산 시설을 새롭게 구축했으며,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의 국내 허가와 유통을 맡기로 계약한 바 있다. 또한 글로벌 민간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의 코로나19 백신 생산기지로도 선정된 상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모더나가 한국 자회사에서 직접 코로나 백신을 생산할지, 아니면 위탁생산 시스템으로 갈지 아직 밝혀진 것은 없다”라고 말하며 “다만 모더나가 mRNA 제조 기술에 대해 그간 철저히 보안에 신경 써온 만큼 국내 기술 이전은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예측했다.
[바이오타임즈=박세아 기자] news@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