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면역 항암제로는 치료가 어려운 ‘콜드튜머’에서 항암 효과 확인
[바이오타임즈]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에스티큐브가 항BTN1A1 면역관문억제제 ‘넬마스토바트(hSTC810)’에 대한 글로벌 임상 1상 최종결과보고서(CSR)를 수령했다고 5일 밝혔다. 계열 내 최초(First in Class) 면역항암제로서 항BTN1A1 치료법의 우수한 안전성과 과학적 작용기전, 유효성을 입증했다.
에스티큐브는 지난 2022년 진행성 고형암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넬마스토바트 단독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예비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 국가, 다기관, 다 회 투여, 공개, 용량 증량 임상 1상을 진행했다. 이는 넬마스토바트 최초의 인체 대상 임상시험이었다.
피험자들은 이전 항암치료에 3회 이상 실패한 말기 암 환자들로서 대장암, 소세포폐암, 난소암 등 대표적인 ‘콜드튜머(Cold Tumor, 면역항암제 불응성 종양)’에 해당하는 환자들이 대다수였다. 콜드튜머는 면역세포가 결핍돼 있어 기존 면역항암제로는 약효가 듣지 않는 암이다.
환자들은 2주에 한 번씩 넬마스토바트를 투여받았으며 6단계 용량 증량(0.3mg/kg, 1mg/kg, 3mg/kg, 6mg/kg, 10mg/kg, 15mg/kg) 및 용량 확장 코호트로 구성됐다. 임상시험 실시기관으로는 미국 MD앤더슨암센터, 예일암센터, 마운트사이나이병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 고대안암병원이 참여했다.
그 결과 넬마스토바트는 1차 지표인 안전성, 내약성에서 우수한 결과가 확인됐다. 모든 피험자(47명) 및 최대 투여 용량(15mg/kg)에서 용량 제한 독성(DLT)이 발생하지 않아 최대 내성 용량(MTD)에 도달하지 않았다.
투여 후 이상 반응(TEAE)과 관련해서는 1등급 또는 2등급 수준의 피로, 식욕감퇴 등 경미한 이상 반응(AE)이 대부분이었으며 약물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치료 관련 이상 반응(TRAE)은 24명(51.1%)에서 발생했으나 대부분 1등급 또는 2등급의 경미한 이상 반응이었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3등급 이상의 치료 관련 이상 반응은 1명(2.1%)에게만 나타났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임상 1상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입증했으므로, 1차 지표인 안전성 결과만으로도 항암제로서의 신약 개발 가치는 충분히 증명한 것”이라며 “면역항암제로 치료가 어렵다고 알려진 콜드튜머 및 이질적 환자군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항BTN1A1 치료제의 인체 내 명확한 작용기전과 항암 활성을 규명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유효성 측면에서 주목할 점은 현재 후속 임상이 진행되고 있는 소세포폐암과 대장암에서의 특징이다. 임상 1상에 참여한 소세포폐암 환자 중 유효성 평가가 가능한 3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치료 효과는 BTN1A1 발현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BTN1A1의 발현이 높은 환자 2명은 안정병변(SD)의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BTN1A1의 발현이 낮은 환자 1명은 질병 진행(PD)으로 분류됐다. 치료 목적 사용 승인을 통해 현재까지도 치료를 받는 SD 환자는 장기 생존을 기대하기 어려운 소세포폐암에서 1년 6개월(20개월) 이상의 무진행 생존 기간(PFS)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치료 종료 후 다양한 환자에게서 눈에 띄는 혼합 반응이 관찰됐다. 간 전이를 동반한 4기 대장암 환자의 경우(투여 용량 0.3mg/kg) 치료 당시 PD로 평가됐으나, 치료 종료 후 화학항암제(카페시타빈)를 투여하고 부분 반응(PR)이 보고됐다. 기존에 화학항암제로 효과를 보지 못했던 환자이기 때문에, 이는 넬마스토바트와 병용투여에 따른 효과일 것으로 분석된다.
에스티큐브는 올해 2월 넬마스토바트와 화학항암제 병용요법으로 확장기 소세포폐암 임상 1b/2상과 전이성 대장암 연구자 임상 1b/2상을 시작했다. 이어 대장암 연구자 임상 1b상 초기 결과 질병 통제율(DCR) 100%, 객관적 반응률(ORR) 16.7%을 기록하며 기존 3차 이상 표준치료제의 DCR, ORR, PFS를 넘어서는 결과값을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바이오타임즈=정민구 기자] news@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