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08 06:15 (일)
최준영 교수, “일차의료기관의 천식∙COPD 등 만성호흡기 질환 치료, 정책적 지원 필요”
최준영 교수, “일차의료기관의 천식∙COPD 등 만성호흡기 질환 치료, 정책적 지원 필요”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4.09.04 1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개최
최준영 교수, 이진국 교수 등 발제자 나서
이주영 의원, “만성호흡기질환, 유병률∙사망률 급격히 증가∙∙∙정부차원의 관리∙대처 시급”
최준영 교수, “흡입약제 사용 교육 관리 유도∙확대 위한 의료 환경 개선 시급”
(사진=)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이 주관하고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가 주관하는 ‘호흡기질환의 만성질환관리 제도 도입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4일 제2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바이오타임즈]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이 주관하고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가 주관하는 ‘호흡기질환의 만성질환관리 제도 도입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4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에는 최준영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이진국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각각 국내∙외 호흡기질환 치료 현황 등을 소개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9년 의원 중심의 만성질환 포괄적 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을 발표했고 5년 8개월 만에 본사업 전환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해당 시범사업에는 주요 만성질환 중 고혈압과 당뇨병만 대상 질환으로 포함돼 있어 다소 아쉽다는 반응이다. 

이주영 의원은 “천식을 포함한 만성호흡기질환은 국내에서 유병률과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리와 대처 방안이 시급한 질환”이라며 “해외에서는 이미 여러 전문 치료 지침에서 권고하는 흡입기 처방이 일차의료기관부터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정책토론회에서 천식과 같은 만성호흡기질환이 주요 만성질환으로서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사진=)
최준영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국내 천식∙COPD 치료 현황 및 문제점’을 주제로 발제했다

◇국내 천식∙CDOP 유병률∙입원률↑∙∙∙원인은? 

최준영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국내 천식∙COPD 치료 현황 및 문제점’을 주제로 발제했다. ‘천식’은 가변적인 호기 기류제한과 함께 천명,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기침 등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다. 반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기류 제한이 특징인 폐질환이다. 기도와 폐 실질 손상으로 발생하며 가장 위험 요인은 ‘흡연’이다. 의사는 천식과 COPD 진단 후 증상과 중증도에 따라 초기 치료를 결정하며 가이드라인에 따라 모든 증상 단계에서 흡입스테로이드를 포함한 흡입약제 사용을 권고한다. 

최준영 교수는 천식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항염증 치료제로 ‘흡입스테로이드’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천식 증상 및 기도 과민성 감소, 폐기능 개선, 기도 염증 조절, 악화 빈도 및 중증도 감소, 천식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 등에 필수적인 약제라고 덧붙였다. 다만, 흡입스테로이드는 천식을 완치하지 못한다는 점, 상당수 환자가 약물 중단 후 수주 내지 수개월 안에 천식 증상이 악화한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다. 

COPD의 경우 증상과 위험도에 따라 가∙나∙다군으로 구분하고 약제를 결정하는데 모든 단계에서 흡입기관지 확장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 교수는 국내 천식 유병률∙입원율이 커지면서 사회∙경제적 부담도 높아진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제9차 천식 적절성 평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만 19세 이상 중 3.2%가, 만 65세 이상 중 5.4%가 천식이 발병하며 2019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65명이 병원에 입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이 34.4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2배에 달하는 수치다. 

사회∙경제적 부담도 상당하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에 따르면 치료비∙민간 요법∙건강보조식품 등 천식에 따른 직접 비용은 9,620억 원, 환자 조기 사망∙결석∙조퇴 등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비용 등 간접비용은 1조 864억 원이다. 작업 중단율 역시 44.4%로 매우 높은 편이다. 

COPD도 마찬가지다.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만 19세 이상 중 12.4%가, 만 65세 이상 중 25.6%가 COPD에 걸리며 입원율도 2019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152.3명이다. COPD에 다른 사회∙경제적 부담을 살펴보면 직접 의뢰 비용은 2,840억 원, 환자 일인당 의료비용은 약 323만 원이다. 142명 환자에 대해 총 사회적 비용 4억 4,00만 달러(약 6,000억 원), 약물 비용 4,100만 달러(약 550억 원) 발생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부담도 상당하다. 

또 최 교수는 “일차의료기관에서 천식∙COPD 흡입약제 사용률이 낮다”며” 그 이유로 ‘천식∙COPD 흡입약제 교육에 대한 부담’과 ‘낮은 유지치료 비율’을 꼽았다. 그러면서 “일차의료기관의 천식∙COPD 치료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효과적으로 천식을 치료∙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차의료기관을 기반으로 천식∙COPD 환자의 흡입약제 사용 교육 관리를 유도∙확대할 수 있는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문진 상담료 수가, 흡입약제 교육상담 수가 도입 등을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이진국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해외사례에 기반한 호흡기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한 발제했다

◇핀란드∙호주∙영국 등 해외에서는 호흡기질환을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이진국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해외사례에 기반한 호흡기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핀란드∙호주∙영국∙일본∙대만 등의 호흡기질환 치료 사례를 소개했다. 

핀란드는 1994년부터 10년간 주로 일차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천식 치료∙관리 프로그램(National Asthma Programme)을 진행했다. 제일 큰 목표는 일반인이 천식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이다. 이진국 교수는 “호흡기내과 및 소아과 의사를 비롯해 1∙2차 병원에 있는 의사와 간호사, 기사 등 의료진이 여러 차례에 걸쳐 이와 관련한 교육을 받는다”며 “그 결과 천식 환자는 3.5~4배 증가했고 입원율과 사망률은 절반 이하로 줄었다”고 말했다. 

호주는 「천식 환자의 3 방문 계획」(the Asthma 3+ visit Plan)을 시행하며 일차의료기관에서 3번 이상 천식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장려했다. 이 교수는 “흡입제 사용법을 모르는 환자가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목적”이라며 “이를 통해 증상 개선과 삶의 질이 향상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영국은 천식과 COPD를 비롯해 심장병, 고혈압, 당뇨 등 지표를 정하고 병원에 방문하도록 했다. 일정 점수에 도달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해 의료시스템 개선에도 집중했다. 이 교수는 “영국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료비 절감”이라며 “의료 혜택에서 소외되는 사람이 없게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일본과 대만은 재활 목적의 호흡기질환 치료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만성기저질환자를 일차의료기관에서 진료받지 않는 나라는 거의 없다”며 “해외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은 일차의료기관에서의 진료를 통한 의료비 절감”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한국에서는 천식∙COPD 등 호흡기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데 전 국민 대상으로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핀란드, 호주, 영국 등처럼 국가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바이오타임즈=염현주 기자] yhj@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