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 “중증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에 배후진료과와의 협진 중요”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 및 제도 개선’ 위한 방안은?
[바이오타임즈] 더불어민주당 김윤∙전진숙 의원이 공동주최한 국회토론회가 28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 및 제도 개선’을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임준 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와 강지훈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김윤 의원은 “중증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응급실에서의 초기 대응뿐만 아니라 그 이후 이어지는 배후진료과와의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며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를 담당하는 배후진료의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운을 뗐다. 이어 “이번 토론회가 응급의료체계가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정책적 개선 사안을 마련하는 소중한 공론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현 ‘배후진료 역량’ 문제는?
임준 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는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제했다.
최근 응급환자가 병원을 찾지 못해 구급차에서 숨지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잦아지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공개한 ‘응급실 내원 후 진료결과’에 따르면 응급실 내원 후 사망자 수는 2018년 4만 9,523명, 2019년 4만 7,263명, 2020년 4만 8,304명, 2021년 5만 477명, 2022년 5만 4,054명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런 상황에서 임준 교수는 배후진료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배후진료 역량 문제로 ▲병상 및 의사 분포의 지역별 차이 ▲진료권별 사망률 격차 ▲응급실 도착 시간과 결과 불일치 등을 언급했다.
임준 교수는 “배후진료 역량이 높은 상급종합병원을 살펴보면 인력 상당수는 종합병원에, 또 종합병원은 서울에 집중돼 있다”며 “이런 점이 응급실 내원 후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응급실 도착 시간과 결과가 일치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외상 중증도 기준(ICISS 2015)에 따른 환자 발병 후 1시간 이내 응급실 도착 비율은 대부분 지역이 40% 내∙외로 나타났지만, 환자의 응급 진료 사망률은 서울이 약 0.5%로 압도적으로 낮았다. 나머지 지역은 많게는 2%, 적게는 1% 내∙외의 수치를 나타냈다.
그는 “응급실 도착 시간과 결과가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급종합병원은 권역센터 또는 중중응급센터의 기능을 담당하는 등 적절한 배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의료인력이 권역센터나 지역센터에 적절하게 배치된다면 지금의 의료인력부족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밖에도 임 교수는 배후진료 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이 없다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월 「필수의료 지원대책」부터 올해 2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까지 의료혁신을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임 교수는 “정부의 정책을 살펴보면 재정 투자계획은 있지만, 배후진료 역량 강화를 포함한 인프라 확충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며 “단순히 의대 정원을 늘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중∙장기 정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임 교수는 배후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공급구조 개혁과 과제로 ▲병상 재구조화 ▲자본 비용 지원 ▲지불제도 개혁 ▲인력 분포 개선 등을 꼽았다. 그는 “결국에는 필수의료 시스템으로 보상이 잘 이뤄질 수 있는 체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법률 제∙개정이나 재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보건의료기본법」 및 「의료법」과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응급의료법)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공공보건의료법) 등을 기본으로 한 법률 재∙개정이나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지훈 교수, “응급신경학 진단 어려워∙∙∙전문성 필요”
강지훈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응급신경계 질환의 협력 대응과 발전’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신경과 교수로서 응급실에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강지훈 교수는 “신경학 질환은 중도가 높은 만큼, 초기 치료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며 응급실에서 신경학 질환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신경학 질환의 30일 이내 사망률은 뇌출혈이 50%, 외상성 뇌질환이 29%, (소발작)뇌전증 지속상태가 20% 정도 된다. 이들 질환은 진단이 어려운 데다 진단하더라도 이른 시일 내에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문제는 응급신경계 질환 스펙트럼이 넓다는 점이다. 강 교수는 “응급실에서는 단순히 혈액검사만이 아닌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전문적인 검사를 거쳐야 한다”며 “이런 이유로 처음에는 뇌졸중으로 응급실에 온 환자 중 50%는 뇌졸중이 아닌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응급신경학은 진단이 어려운 만큼,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게 강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일부 신경과 질환 후 정신과적 진단으로 넘어가는 응급질환도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알코올 의존증(Alcohol Intoxication), 약물남용(Drug Abuse),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등의 정신질환은 의식 때문인지, 약물 때문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몇몇 환자는 중환자실에서 산소치료를 받아야 하는 등 내과적 치료가 필요할 때도 있다.
강 교수는 지금 한국 의료 시스템에서 ▲응급실 집중화 ▲다제학의학 팀(Multi-disciplinary Team) 구성, 지역 간 협의 등이 적용 가능하고 보았다. 그는 “응급실에서 진료 후 다른 병원에 입원하는 등 응급실 접근성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며 “인력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어진 토론에는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이해영 중앙뇌심혈관센터장 겸 심근경색증연구회 이사, 홍석경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외상외과 교수, 민진홍 대한응급의학회 보험이사, 이경수 경상북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 진성찬 국립중앙의료원 영상의학과 전문의, 김건엽 경북대병원 공공부원장,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 조호식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사무관이 참석했다.
[바이오타임즈=염현주 기자] yhj@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