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2 14:25 (목)
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경북대병원 첫 도입
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경북대병원 첫 도입
  • 최진주 기자
  • 승인 2024.08.08 1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대병원, 신장결석 유병률 및 수술 건수 높은 대구 경북 지역 환자 위해 첫 도입
자메닉스, 국내 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초 완전 로봇식 신장결석 수술로봇
2022년 확증임상, 결석 제거율 93.5%
수술로봇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이 개발한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를 경북대병원이 국내 최초로 도입해 경북대 의료진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로엔서지컬)
수술로봇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이 개발한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를 경북대병원이 국내 최초로 도입해 경북대 의료진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로엔서지컬)

[바이오타임즈] 수술로봇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대표 권동수)은 자사가 개발한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가 경북대병원에 최초로 도입됐다고 8일 밝혔다.

국내 상급종합병원인 경북대병원 비뇨의학과에 공식 도입을 시작으로 자메닉스의 병원 내 사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자메닉스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 경북대병원 관계자는 “분지 지형의 대구 경북은 여름철 폭염으로 콩팥 결석 유병률이 높고 콩팥 결석 수술도 타지역 대비 잦아 환자의 안전과 수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메닉스를 선도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AI 기반 세계 최초의 완전 로봇식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는 유연내시경 로봇과 이를 작동시키는 컴퓨팅 장비가 한 쌍으로 구성돼 있다.

자메닉스의 2.8mm의 유연내시경은 절개 없이 요도와 요관을 통과해 결석을 반복적으로 제거한다. 수술 시 환자에게 유연내시경 로봇 세팅이 완료되면 의사 1인이 컴퓨팅 장비만을 통해 로봇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자메닉스는 로봇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조종 기술과 다양한 AI 기능이 기존 수술법 대비 결석의 분쇄와 제거율을 높였다. 자메닉스의 호흡 보상 기능은 환자의 호흡으로 인한 결석의 움직임을 레이저에 보상해 정밀한 레이저 조사 및 정확한 결석 파쇄로 더 안전한 수술을 구현하고 레이저 시간을 줄여준다.

또, 자메닉스에는 결석이 요관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인지를 안내하는 AI 기능이 탑재돼 있어 큰 결석은 레이저로 쪼개 요관 손상 없이 제거하며, 결석 크기 오인으로 인한 수술 지연을 방지한다.

경로재생 기능은 요관 내시경이 결석이 위치한 곳까지의 다녀간 경로를 자동으로 주행함으로써 반복적인 결석제거 과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한다. 이 기능은 자율주행 자동차처럼 다녀간 경로를 인식해 결석 제거의 반복작업으로 인한 의료진의 피로도를 낮추고, 환자의 요관 손상을 줄여준다.

자메닉스는 근거리 원격 조종과 로봇팔을 이용한 수술 과정을 통해 시술자의 피로도와 방사선 노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점도 중요한 이점이다.

이 장비에 대한 확증 임상은 2022년 내시경 결석치료술(RIRS)를 필요로 하는 0.5-3cm 크기의 신장결석을 가진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결석 제거율 93.5%와 경증 합병증 발생률 6.5%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임상시험은 서울대학교 병원(조성용 교수)과 신촌 세브란스병원(이주용 교수)에서 참여했고, 이 임상시험 결과는 2023년 3월 유럽 비뇨의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에서 발표돼 최우수 비디오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번 도입을 추진한 경북대병원 관계자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초의 완전 로봇식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의 도입으로 다양한 환자들의 결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수술의 난이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집도의의 수술 경험에 덜 의존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결석 제거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로엔서지컬의 권동수 대표는 “경북대 병원의 선도적인 도입 결정을 환영한다”며, “자메닉스를 통해 대구 경북 지역의 많은 신장결석 환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자메닉스는 2021년 12월 식약처 제17호 혁신의료기기로 신속심사 대상으로 선정, 2022년 10월 식약처의 제조 허가를 획득했다. 지난해 8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로부터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돼 올해부터 3년간 비급여 또는 선별급여로 사용이 가능하다.

올 하반기부터는 신의료기술 등재를 위해 5개 기관에서 232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며, 내년 초 임상연구가 끝나면 진료목적으로 전환 후 원내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3년간의 임상근거를 기반으로 심평원의 신의료등재 평가를 통해 급여가 결정된다.

 

[바이오타임즈=최진주 기자] news@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