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6 21:50 (월)
美 노스캐롤라이나,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 중단∙∙∙제약업계, “합병증 치료에 한해 보험 적용 필요”
美 노스캐롤라이나,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 중단∙∙∙제약업계, “합병증 치료에 한해 보험 적용 필요”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4.01.29 16: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만치료제, 비싼 데다 장기간 복용해야
노스캐롤라이나, 신규 비만 환자에 대한 보험 적용 중단
리베이트 철회 따른 손실, 722억 원↑
美 의사협회,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 촉구∙∙∙“비만, 건강상 심각한 위험 가능성 있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바이오타임즈] 미국 노스캐롤라이나(North Carolina) 주 정부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을 중단했다. 비만치료제 가격이 치솟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제약회사와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비만치료제가 가격이 비싼 데다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만큼, 이번 결정이 GLP-1 기반 비만치료제 제조회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노보노디스크
사진=노보노디스크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 리베이트 철회∙∙∙2030년 2조 원 손실 예상 

미국 <블룸버그(Bloomberg)>는 28일(현지 시각) 노스캐롤라이나 주건강보험(SHP, State Health Plan)이 올해부터 신규 비만 환자에 대한 치료제 보험 적용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앞서 노스캐롤라이나 주 정부는 지난해 1억 달러(약 1,335억 원)를 들여 비만치료제를 구입했다. 

보도에 따르면 노스캐롤라이나의 이 같은 조치에 SHP와 비만치료제 제약사는 가격 인하 협상을 시도했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SHP는 오는 4월부터 비만치료제와 관련된 모든 보험 적용을 중단하기로 했다.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는 이미 구입한 비만치료제에 대한 리베이트를 철회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노스캐롤라이나가 계속해서 비만치료제에 보험을 적용한다면 비만치료제 시장은 2030년 15억 달러(약 2조 원) 규모의 손실을 봤을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실제로 SHP는 리베이트 철회로 생기는 손실이 기존 처방약에 들어간 금액보다 5,400만 달러(약 722억 원) 많다고 통계를 내기도 했다. 

 

사진=보건복지부
사진=보건복지부

◇“환자 위한 결정 아니야”∙∙∙보험∙세금 등 과도한 부담 전가 우려도 

일각에서는 이번 노스캐롤라이나의 결정이 환자를 위한 게 아니라며 비난하고 있다. 또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비만치료제 시장에서만큼은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 여부를 두고 미국 내 일부 주 정부와 제약회사 간 갈등은 지속해서 있었다. 

앞서 지난해 11월 미국 최대 의료전문기관 미국의사협회(AMA, America Medical Association)는 비만치료제에 대한 보험 적용을 촉구한다고 공식 입장을 공표하며 보험사와 정부에 적극 압박하기 시작했다. 

또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와 오젬픽(Ozempic),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젭바운드(Zepbound) 등 비만치료제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를 기반으로 개발됐는데, 일부 제약업계는 GLP-1이 주로 당뇨병이나 비만 진단받은 사람에게만 처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비만치료제에 보험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의약품 구매 비용이 커지는 것은 물론 소비자에게 보험과 세금에 과도한 부담을 전가하게 된다는 우려도 있다. 

미국 의학계 관계자는 “비만은 당뇨병을 비롯해 고지혈증, 뇌졸중, 심혈관질환, 관절염 등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킨다”며 “비만을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비만 환자는 건강상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한 체중감량만을 위한 게 아니라면 비만 환자의 잠재적인 합병증 치료에 한해 비만치료제 보험 적용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지난 2018년 발표한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통해 고도비만 환자에 대한 대사수술에 건강보험을 적용했다. 하지만 비만치료제에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만 치료에 대한 비만 환자의 비용 부담이 크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비만 유병률 증가와 이에 따른 합병증 발생 및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비만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정책 변화에 대비해 국민건강증진으로서의 비만 관리와 치료에 대한 제약업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바이오타임즈=염현주 기자] yhj@biotimes.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